2025년 <5월 3주차 AI ISSUE SCANNER> |
|
|
<NOTICE>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로 요약한 내용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외부 인용 시에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원문 확인을 권고합니다. 본 콘텐츠 내의 내용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AI ISSUE SCANNER를 수신하시려면 성함과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세요.
본 콘텐츠가 마음에 드신다면, 주변에 구독을 추천해주세요 |
|
|
마이크로소프트가 구글이 최근 공개한 AI 에이전트 상호 연결 표준인 ‘Agent2Agent(A2A)’ 프로토콜을 자사 AI 개발 플랫폼에 도입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 플랫폼인 Azure AI Foundry와 Copilot Studio에서 A2A를 도입할 예정이며, A2A 표준 개발을 위한 GitHub 워킹그룹에도 합류했다. A2A는 AI 에이전트들이 서로 다른 클라우드, 앱, 서비스 간에 명령을 주고받고, 작업을 호출할 수 있게 해주는 개방형 프로토콜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2A 지원을 통해 자사 플랫폼에서 만든 에이전트가 외부 에이전트와도 연동해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가 회의 일정을 잡고, 구글 에이전트가 이메일 초대장을 작성하는 식으로 다양한 에이전트가 협력하는 복잡한 워크플로를 구축할 수 있다. (2025.05.07, Techcrunch)
|
|
|
앤트로픽(Anthropic)이 자사의 AI 챗봇 Claude에 인터넷 검색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로써 Claude는 2023년 이후의 최신 정보와 뉴스까지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 기능은 앤트로픽의 개발자용 도구인 Anthropic API를 통해 제공된다. 개발자들이 Messages API에서 웹 검색 도구를 활성화하면 Claude가 필요할 때 자동으로 인터넷을 검색해 최신 정보를 찾아 답변할 수 있다. 기업들은 도메인 허용 목록과 도메인 차단 목록을 설정해 Claude가 검색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조직 수준 관리 기능으로 웹 검색 사용 여부를 제한할 수 있다. 앤트로픽의 개발자 도구인 Claude Code에도 웹 검색 기능이 추가되어, 개발자들이 코딩하는 중에 최신 API 문서나 프로그래밍 가이드를 바로 참조할 수 있게 됐다. 이 기능은 Claude 3.7 Sonnet, Claude 3.5 Sonnet, Claude 3.5 Haiku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개발자가 이 기능을 사용할 때마다 1,000회 검색당 10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2025.05.08, Anthropic)
|
|
|
유럽방송연합(EBU)과 세계 뉴스출판사 협회( WAN-IFRA)가 '인공지능 시대의 뉴스 무결성' 이니셔티브를 통해 생성형 AI와 관련된 5대 실천 원칙을 발표했다. 이 원칙은 기술 기업에 허위 정보 확산 방지와 신뢰성 있는 뉴스 가치 보호를 위한 미디어 기업과의 협력을 촉구한다.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린 '2025 세계 뉴스 미디어 콩그레스'에서 5월 5일 공개된 이 5대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뉴스 콘텐츠는 원작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생성형AI에 사용되어야 한다.
- 제3자에게 이익이 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때, 고품질 뉴스 콘텐츠의 가치는 공정하게 인정받아야 한다.
- AI가 생성한 자료의 원본 뉴스 출처는 명확히 표시되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뉴스 미디어의 다양성을 활용하면AI 기반 도구에 큰 이점을 제공한다.
- 기술 기업들은 안전성, 정확성, 투명성 기준 개발을 위해 뉴스 기관과 공식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
이 원칙들은 북미방송협회(NABA), 라틴아메리카정보연합(AIL), 아시아태평양방송연합(ABU) 등의 지지를 받았으며, 이들 단체는 전 세계 수천 개 미디어 기관을 대표한다. (2025.05.06, WAN-IFRA )
|
|
|
싱가포르, 글로벌 AI 안전 연구 우선순위 합의 이끌어
싱가포르가 최근 11개국 AI 전문가 100여 명을 모아 'AI 안전성에 관한 싱가포르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싱가포르 글로벌 AI 안전 연구 우선순위 합의'가 도출됐다. 이 합의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MILA 창립자인 요슈아 벤지오가 주도하고 33개 정부가 지지한 국제 AI 안전 보고서를 바탕으로, AI 시스템의 안전한 개발, 위험 평가, 통제 메커니즘이라는 세 가지 영역에 중점을 뒀다.
<AI 안전 연구의 세 가지 핵심 영역>
1. 위험 평가: AI 시스템 위험 평가와 제3자 감사 지원을 위한 도구 개발
2. 안전 개발: 안전한 기능 지정 및 구축, 검증하는 안전 엔지니어링 접근 방식을 통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 AI 시스템을 설계하는 공학적 접근법
3. 통제 방안: AI 행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개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만들어 관리 환경 조성 및 사회적 회복력 강화
주요 AI 전문가들은 이 합의안의 가치를 인정했다. 요슈아 벤지오는 "AI 안전성에 대한 국제적 협력의 새로운 시작"이라 평했으며, MIT의 맥스 테그마크는 "AI 안전 국제 협력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합의안은 이달 말 Asia Tech x Singapore Summit(ATxSummit)에서 디지털 장관들에게 제출될 예정이다. (2025.05.09, OPENGOV)
|
|
|
미국 내 250명이 넘는 기업 CEO들이 초·중·고등학교(K–12)에서 인공지능(AI)과 컴퓨터 과학 교육 강화를 촉구하는 공개서한에 서명했다. 세일즈포스, 우버, 야후, 줌, 아메리칸 항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CEO들이 서명하였으며 서명에 참여한 CEO들은 AI 주도 경제에서 컴퓨터 과학과 AI 교육이 기술 및 임금 격차를 줄이고 글로벌 AI 경쟁에서 미국의 우위를 유지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했다. 서한을 뒷받침하는 브루킹스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고교에서 컴퓨터 과학 수업 한 과목만으로도 평생 임금이 8% 증가하고 취업 가능성은 3% 높아지며, 특히 여학생과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더 큰 혜택이 돌아간다고 밝혀졌다. (2025.05.06, Forbes)
|
|
|
스탠퍼드대학교 인공지능연구소(HAI)와 후버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는 중국 AI 스타트업 DeepSeek의 인재 구성을 분석해 미국의 AI 인재 우위라는 오랜 가정에 의문을 제기했다. 2023년 설립된 DeepSeek은 올해 1월 뛰어난 추론 능력을 갖춘 R1과 V3 모델을 공개해 AI 업계에 충격을 주었다. 연구진은 DeepSeek의 기술 논문 저자들을 심층 분석한 결과, 놀라운 인재 패턴을 발견했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DeepSeek 연구진 절반 이상이 해외 경험 없이 중국에서만 교육받고 일했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에서 경험을 쌓은 연구자들의 이동 패턴도 주목할 만하다. 상당수는 해외에서 기술을 배운 후 중국으로 복귀했고, 일부는 미국과 중국을 여러 차례 오가며 양국 네트워크에 동시에 자리 잡았다. 이는 중국이 '브레인 드레인'이 아닌 '브레인 루프'를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브레인 루프란 해외에서 경험을 쌓고 귀국하여 글로벌 협력을 유지하는 순환적 인재 활용 모델을 말한다. 그리고 DeepSeek 핵심 연구팀의 논문 인용 지표는 OpenAI와 비교했을 때 평균보다는 낮지만, 중간값은 오히려 높아, 보다 균형 잡힌 연구 역량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와 함께 보고서는 미국에 세 가지 정책 변화를 권고한다.
첫째, 영구적 인재 유치에서 순환적·협업적 모델로 전환, 둘째, 초중고 과학 기술교육 강화, 셋째, '브레인 드레인'에서 '브레인 루프'로 관점 전환이다.
스탠퍼드 HAI 연구진은 미국이 여전히 세계 최고 AI 인재를 영구적으로 유치할 수 있다는 가정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는 현대 교육 현실과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DeepSeek 사례는 AI 경쟁력의 핵심이 컴퓨팅 자원이나 데이터가 아닌, 인적 자원의 질적 구성에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라 할 수 있다. (2025.05.06, StanfordHAI)
|
|
|
영국 정부는 여학생들의 고급 수학 학습을 지원하고 인공지능(AI) 관련 진로로의 진입을 확대하기 위해 총 820만 파운드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다. 현재 A 레벨 (고등학교 과정) 수학 수강생 중 여학생은 약 3분의 1에 불과하며, AI 관련 직종 종사자 중 여성 비율도 22%에 그쳐 성별 격차가 뚜렷하다. 이에 영국 정부는 전국 400개 취약 지역 중등학교 출신 약 7,500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대규모 자금을 지원한다.
이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오는 9월부터, 시범적으로 AI에 필요한 핵심 수학 개념과 기술을 가르치는 시범 교사 교육 및 학생 심화 과정에 450명의 학생과 360명의 교사가 참여하게 된다. 이번 지원은 정부의 AI 행동 계획 핵심 약속인 '인재 파이프라인 구축'과 'AI 인재 다양성 확대'를 실현하는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25.05.06,GOV.UK)
|
|
|
2025년 5월 3주차 AI 이슈스캐너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문의: ai_issue_scanner@nia.or.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