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4주차 <AI ISSUE SCANNER> |
|
|
<NOTICE>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로 요약한 내용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외부 인용 시에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원문 확인을 권고합니다. 본 콘텐츠 내의 내용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AI ISSUE SCANNER를 수신하시려면 성함과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세요.
본 콘텐츠가 마음에 드신다면, 주변에 구독을 추천해주세요.
|
|
|
메타(Meta)가 AI 이미지·영상 생성 스타트업 미드저니(Midjourney)와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메타는 미드저니의 기술을 자사 AI 모델과 서비스에 도입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 메타 최고 AI 책임자(CAIO)는 “최고 수준의 제품을 위해서는 업계 인재, 컴퓨팅 인프라, 우수한 파트너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오픈AI(OpenAI)의 소라(Sora), 구글(Google)의 비오(Veo), 블랙포레스트랩(Black Forest Labs)의 플럭스(Flux) 등의 이미지 생성 모델들과 경쟁하기 위한 행보다. 메타는 자체 이미지 생성 도구 Imagine과 영상 생성 도구 Movie Gen을 이미 서비스 중이다. 여기에 이번 미드저니와의 협력으로 이미지 생성 모델 영역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는 인재 확보를 위한 대규모 채용과 음성 AI 스타트업 인수를 진행하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협력도 그중의 하나로 보인다. 협력사인 미드저니는 2022년 설립 이후 사실적이고 독창적인 이미지 생성으로 빠르게 성장했으며, 2023년 약 2억 달러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6월에는 첫 번째 AI 영상 생성 모델 ‘V1’을 공개해 기술 영역을 확장했다. 이번 제휴로 메타는 이미지·영상 생성 경쟁력을 높이고 미드저니는 독립성을 유지한 채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5.08.22., TechCrunch)
|
|
|
구글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장기 우주 탐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지원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 ‘승무원 의료 담당관 디지털 어시스턴트(Crew Medical Officer Digital Assistant)’로 명명된 이 도구는 우주 비행사의 증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진단과 치료 방안을 제시하고, 지상의 의료진에게도 의사결정 지원 정보를 제공한다.
이번 개발은 장기 임무에서 의료 지원이 제한되는 현실적 제약에서 출발했다. NASA에 따르면 우주 비행사들은 기본 응급처치와 특수 환경 질환 대응 훈련을 받지만, 국제우주정거장(ISS)과 달리 달이나 화성 탐사에서는 통신 지연과 귀환 시간 때문에 지상 지원을 즉각적으로 받기 어렵다. 달 임무의 경우 통신 지연이 최대 10초, 귀환에 2주가 걸릴 수 있으며, 화성 임무는 통신 지연이 최대 40분, 귀환에는 6개월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구글과 NASA는 증상 입력만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진단을 제공하는 AI 모델을 시험했으며, 초기 검증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현재는 의료 전문가와 협력해 모델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장차 달 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Artemis) 2·3호와 2030년대 계획된 화성 임무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가 “가장 고립된 환경에서도 필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AI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 (2025.08.18., Euronews)
|
|
|
美 행정부, 인텔 지분 약 10% 확보 방안 추진
트럼프 행정부가 칩스(CHIPS)법을 통해 집행 중인 보조금의 일부를 인텔(Intel) 지분으로 전환해 약 10%를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성사될 경우,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가 되며, 실리콘밸리 대표 기업에 대한 직접적 정부 소유라는 전례 없는 사례가 된다.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상무장관은 이번 계획을 확인하며 “지금의 현금 보조금은 세금으로 기업에 무상 지원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라며 “납세자들이 투자한 만큼의 대가를 받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분 전환을 통해 정부가 인텔의 성과를 공유하는 구조를 만들고, 미국 국민에게 실질적 이익을 환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확보할 지분은 의결권 없는 주식으로, 정부가 경영에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텔은 CHIPS법 최대 수혜 기업으로 최대 78억 달러 지원을 약속받았으나, 공장 건설 지연과 경쟁력 약화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루트닉 장관은 이러한 상황에서 “세금으로 기업에 단순히 돈을 쏟아붓는 지원보다는, 정부가 주주로 참여해 인텔의 가치를 높이고 그 성과가 납세자에게 돌아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2025.08.20., Euronews)
|
|
|
중국, 엔비디아 H20 구매 중단 지시
중국 정부가 자국 주요 기술 기업들에 엔비디아(NVIDIA)의 H20 인공지능(AI) 칩 구매를 중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텐센트(Tencent)와 바이트댄스(ByteDance) 등 기업들이 이미 수주 전부터 해당 지시를 받았으며, 중국은 이 칩에 대한 보안 우려를 이유로 들었다.
이와 관련해 엔비디아는 미국 애리조나의 앰코테크놀로지(Amkor Technology)와 한국 삼성전자에 H20 생산 중단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H20은 미국이 지난 4월 중국 판매를 금지한 최상위 칩 블랙웰(Blackwell)보다 성능이 낮은 모델로, 무역 협상 과정에서 예외적으로 허용됐던 제품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인터넷 규제기관(CAC)은 엔비디아를 불러 H20 칩에 위치 추적이나 원격 차단 기능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엔비디아는 “백도어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며 이를 전면 부인했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CEO는 “중국 정부에 충분한 해명을 제공했길 바란다”라며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중국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데이터센터용 칩 ‘B30A’를 미국 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언급했으나, 실제 출시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러한 조치에는 정치적 갈등도 작용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 규제 당국이 하워드 루트닉 미 상무장관의 발언, 즉 “중국에는 최고 수준은 물론 2·3등급 칩조차 팔지 않는다”라는 발언에 불쾌감을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2025.08.22., Euronews)
|
|
|
유럽연합(EU)은 AI가 기본적 법과 가치를 존중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2024년부터 AI법(AI Act) 을 시행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범용 AI 모델을 대상으로 하는 자율규약(Code of Conduct)을 마련해 기업들의 참여를 권고하고 있다.
챗GPT를 운영하는 오픈AI(OpenAI)와 클로드를 개발한 앤트로픽(Anthropic)은 규약 참여 의사를 밝혔지만, 메타는 “혁신을 저해한다”라는 이유로 거부했다. 규약에 서명하지 않는 기업은 더 엄격한 점검과 행정적 부담을 받을 수 있으며, 법 위반 시 최대 1,500만 유로의 벌금이 부과된다. 자율규약에는 저작권 준수, 첨단 AI 모델의 시스템 리스크 방지, 투명성 보고 절차 등이 포함된다. AI법은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시행되며, 이미 출시된 모델에는 2년의 적응 기간을 주지만, 새롭게 출시되는 모델은 즉시 법을 준수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EU가 이러한 규제를 통해 “신뢰받는 글로벌 AI 제공자”로 자리매김하려 한다고 분석한다. 미국과 중국이 대규모 투자 유치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EU는 기본권 보호와 안전성을 앞세우면서도 올해에만 2,000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는 등 재정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2025.08.19., Euronews)
|
|
|
오픈AI(OpenAI)가 인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뉴델리에 첫 현지 사무소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인도 전용 요금제 ‘ChatGPT Go’(월 399루피, 약 4.75달러)를 출시한 데 이어 나온 조치다. 회사는 현지 팀을 꾸려 정부, 기업, 개발자, 학계 등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인도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한 기능과 도구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샘 알트먼 CEO는 “인도와 함께, 인도를 위한 AI를 만들겠다”라며 이번 진출의 의미를 강조했다.
인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인터넷·스마트폰 시장으로, 구글·메타 같은 글로벌 빅테크와 퍼플렉시티 같은 신생 기업까지 치열하게 경쟁하는 무대다. 오픈AI는 인도에서 첫 교육 서밋과 개발자 행사를 열 계획이며, 이미 전 트루콜러·메타 임원 프라기야 미스라를 정책·파트너십 총괄로, 트위터 인도 대표 출신 리시 자이틀리를 고문으로 영입해 정부와의 협의 채널도 확충했다.
다만 인도 시장은 여러 도전 과제를 안고 있다. 가격에 민감한 특성상 무료 이용자를 유료 구독자로 전환하는 일이 쉽지 않고, ANI를 비롯한 현지 언론사들과의 저작권 분쟁도 진행 중이다. 또한 기업 고객 확보에도 제약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럼에도 인도 정부는 ‘IndiaAI Mission’을 추진하며 국가적 차원에서 AI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 미션은 인도를 글로벌 AI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연구개발 지원, 데이터·컴퓨팅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신뢰할 수 있는 AI 체계 마련을 목표로 한다. 아슈위니 바이슈나우(Ashwini Vaishnaw) 장관은 “포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AI 생태계를 조성해 모든 시민이 혜택을 누리도록 하겠다”라며 오픈AI의 참여를 환영했다. (2025.08.21., TechCrunch)
|
|
|
2025년 8월 4주차 AI 이슈스캐너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문의: ai_issue_scanner@nia.or.kr
|
|
|
|